3D-251 은 3D-207(이하 '기존품' 으로 기재)의 단점을 보완하고 현장 적응성 및 안전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하였습니다.
기존품은 설치 시, 작업자의 잘못된 취부 방식이나, 설치 위치에 따라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습니다. 현장마다 카도어 특성이나 상황이 달라 설치 시에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하지만, 기존품이 이를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을 주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카도어 규격이 세이프티슈 겸용일 때 고정부 측의 위치를 세이프티슈(가동부)와 접촉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카도어 안쪽으로 설치하게 됩니다. 이는 오동작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TX(투광부), RX(수광부)에 있는 3D 기능의 적외선은 바깥 방향으로 어떠한 간섭없이 수평으로 45도를 유지해야 하지만, 고정부 측을 너무 안쪽으로 깊이 취부하면(도어 끝난 기준으로 20mm 이상) 승장도어의 간섭을 받아 3D 주 기능이 상실되거나 오동작이 발생합니다. 이에, 3D 기능과 2D 기능을 분리하여 카도어의 상부에 3D 를 별도 설치하도록 개발하였습니다.